IT

디지털 상식 정리 5

sunK 2021. 10. 28. 21:51

JSON(JavaScript Object Notation)

 -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

 -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언어에 관계없이 통일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일정한 패턴을 지닌 문자열을 생성해 내보내고, 클라이언트는 이를 해석해 데이터를 자기만의 방식으로 온전히 저장, 표시할 수 있게 됨

 - 속성-값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 형태로 전달됨

 - 비동기 통신을 위해 AJAX에서 많이 사용됨

 - 문자열을 전송받은 후에 해당 문자열을 바로 파싱하므로 XML보다 더욱 빠른 처리 속도를 보여줌

 - HTML과 자바스크립트가 연동되어 빠른 응답이 필요한 웹 환경에서 많이 사용됨

 - 비동기 브라우저/서버 통신을 위해, 넓게는 XML을 대체하는 주요 데이터 포맷

 

 

XML

 - 다른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

 

 

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7계층

 - 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크게 7단계로 구분하여 정의한 계층형 모델

 - FTP, SMTP, HTTP, Telnet 등 프로토콜이 속하는 계층은 application 계층임

 - 계층을 지날 때마다 헤더(header)가 붙는데, 이것은 해당 계층의 기능과 관련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

 - 통신 중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session 계층

 -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,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기능을 제공

 

1계층 - 물리계층(Physical Layer) : 데이터를 전달만 함. 통신 단위: 비트. 케이블, 리피터, 허브

2계층 - 데이터 링크계층(DataLink Layer) : 안전한 정보의 전달 수행. 통신에서의 오류 찾아주고 재전송도 함.  맥 주소를 가지고 통신. 단위: 프레임, 대표적 장비: 브리지, 스위치

3계층 -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 :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. 라우터. Layer 3 스위치

4계층 -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 :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. 보통 TCP프로토콜을 이용. 데이터를 하나로 합침

5계층 - 세션 계층(Session Layer) : 세션 설정, 유지, 종료, 전송 중단시 복구 등의 기능이 있음

6계층 -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 : 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, 암호화

7계층 -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 : 최종 목적지로서 HTTP, FTP, SMTP, POP3, IMAP,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음

 

 

쿠키 파일

 - 수동적이기에 악성 코드 또는 바이러스를 직접 유포할 수 없음

 - 간단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음

 - 웹 브라우저가 거쳐간 웹사이트 및 개인의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가 있음

 - 특정 웹사이트 접속 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

 - 특정 쿠키를 차단하거나 삭제할 수 있지만, 차단 시 관련 사이트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

 

 

ERC-20 (Ethereum Request for Comment 20)

 - 일반적으로 거래소에서 거래하고 있는 대부분의 토큰 발행 기준

 -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정한 표준 토큰 스펙

 -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개선안을 제안하는 EIPs에서 관리하는 공식 프로토콜

 - 대체 가능의 특징을 지님

 - 필요한 이더리움과 호환성이 있는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표준은 ERC-20으로 간주

 - 이더리움과 교환 가능하며 이더리움 지갑으로 전송이 가능

 

ERC-721

 - 증서라고 알려진 NFT(Non Fungible Token)의 표준안

 - 대체 불가능한 토큰

 - 모두 제 각각의 가치를 갖고 있음

 - 토큰 그 자체보다는 게임에 주로 쓰임. E.g. 크립토키티(CryptoKitteies): 제 각각 다른 생김새를 가진 고양이

 

 

블록체인 1.0 - 디지털 통화

블록체인 2.0 - 스마트계약 등으로 확장된 개념. 금융상품, 공증, 소셜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확장

블록체인 2.0은 이더리움 분산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디지털 상식 정리 7  (0) 2021.10.29
디지털 상식 정리 6  (0) 2021.10.28
디지털 상식 정리 4  (0) 2021.10.28
디지털 상식 정리 3  (0) 2021.10.16
디지털 상식 정리 2  (0) 2021.10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