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구조
- 스택(Stack) : 한쪽으로 삽입과 삭제. 가장 최근에 보관한 자료를 먼저 꺼냄
- 데크(Deque) : 리스트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
- 큐(Queue) : 한쪽으로 보관하고 다른 쪽에서 꺼냄. 가장 먼저 보관한 자료를 먼저 꺼내는 FIFO(First In First Out) 방식
NoSQL
- Not only SQL의 약자
- 비관계형 데이터 저장 기술
- RDBMS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의 새로운 형태
- 수평적 확장성
- 문서, 그래프, 키 값, 인메모리, 검색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모델 사용
- 분산처리라는 특징으로 클라우드 환경에 맞는 저장 기술
- 클라우드 서비스 구현에 적합하며 주로 빅데이터 분석 등에 사용
- 데이터 저장에 고정된 테이블 스키마가 필요하지 않음
- join 연산 사용할 수 없음
- 스키마가 필요 없음
- 정규화를 전제로 하고 있어 업데이트 시 비용이 적게 듬
HDFS
-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
- 하둡의 대표적인 파일 시스템
- 범용 하드웨어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실행
- 데이터 액세스 패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지원하여 매우 커다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됨
맵리듀스
- 구글에서 대용량 처리를 분산 병렬 컴퓨팅으로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
- 페타바이트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를 신뢰도가 낮은 컴퓨터로 구성된 클러스터 환경에서 병렬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서 개발
5G
- 5G를 통해 초고속, 초연결, 저지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마트팩토리 구현 가능
- 2019년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CDMA이후 다시 세계 최초 타이틀을 획득함
6G
- 2030년쯤 실현되고 초당 100기가비트(100Gbps) 이상의 전송 속도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
데이터 크기 단위 (>마다 1024 곱해짐)
Byte > KiloByte > MegaByte > GigaByte > TeraByte > PetaByte > ExaByte > ZeettaByte
리브라
- 페이스북에서 개발한 디지털 암호화폐
- 2020년 연말 출시를 목표로 하며 2020년 4월에 리브라2.0 백서를 공개함
- 페이스북은 왓츠앱과 메신저 등 자사 서비스들을 통해 리브라를 글로벌 결제 플랫폼으로 활용하려고 함
- 프라이빗(허가형)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영
- 통화 바스켓을 기초로 한 글로벌 단일 모델에서 각 법정 통화와 연결된 다중 토큰 모델로 전환함
양자정보통신
- 양자에 '0이면서 동시에 1'인 양자 현상을 이용한 정보를 실어서 보냄
- 양자암호통신, 양자컴퓨터, 양자소자/부품 등이 있음
- 난수로 정보를 함호화한 뒤 이 정보를 양자에 실어 보내므로 제3자가 중간에서 정보를 가로챌 수 없음
- 디지털 컴퓨터에서의 기존의 정보를 비트라고 할 때, 이에 대응하는 양자정보는 큐비트(qubit)임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SSQL 동적 PIVOT 쿼리 (0) | 2022.06.15 |
---|---|
디지털 상식 정리 7 (0) | 2021.10.29 |
디지털 상식 정리 5 (0) | 2021.10.28 |
디지털 상식 정리 4 (0) | 2021.10.28 |
디지털 상식 정리 3 (0) | 2021.10.16 |